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방] 2023년 직업군인 수당 지급일자 알아보기

by 국방매거진 2023. 6. 11.
반응형

"6월쯤되면 생각나는게 이맘때쯤 연가보상비를 받았던것 같은데 정확히 언제 받지??라는 생각이 들겁니다. 연가보상비는 통상 6월에 지급받았던것 같은데 21년에 코로나로 인해서 5월로 선지급이 되면서 햇갈리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23년도는 언제 지급받는지와 기타 수당지급일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

23년 연가보상비  

연가는 직업군인들에게 업무로 부터 오는 피로를 해소하기위해서 지급되는 휴가로 1년에 21일이 주어집니다. 통상 21일을 다가는경우는 군생활하는동안 보지 못한거 같습니다. 특히나 중요 보직에서 임무수행하거나 지휘관인 경우 연가는 아마도 언감생심 일겁니다. 

 

근로자 역시 근로기준법에 의해 근무에 대한 보상을 받아야하는데 못할 경우 대체 휴무가 주어지듯이 군인들 역시 휴가를 못갈경우 연가를 보상해주는 연가보상비에 의해서 보상을 받습니다. 통상 1년에 두번 상반기 6월과 후반기인 12월에 연가보상비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참고로 2023년 연가보상비의 경우 5월 급여명세서에 7월 10일 5일치 지급된다고 하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공지된 군인 및 군무원 권장 연가일수는 10일이며 미사용 권장연가일수 및 이월 저축 연가에 대해서는 연가보상비가 미지급된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대부분의 군인들은 21일이라는 연가를 다가지 못하기때문에 10일정도 휴가를 가고 연가보상비를 11일 지급받는 경우가 보통이며 중요 직책의 경우 연가저축 5일, 연가실시 5일해서 11일 연가보상비를 받게됩니다.  전반기에 선지급 받은 뒤 후반기 갑작스러운 일이생겨서 연가를 계획보다 많이 가는 경우도 소급이 가능하기때문에 연가보상비보다 Flex를 생각하는 젊은 군인들 사이에서는 생각보다 연가보상비 수당을 중요하게 생각안한다고 하네요. 

 

추가적으로 국군재정관리단 카카오톡 채널 추가를 하신다면 급여와 관련된 최신정보와 월마다 이슈가되는 사항을 손쉽고 빠르게 알수 있으니 아래 링크를 눌러서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https://pf.kakao.com/_XZAUK

 

국군재정관리단

국방가족의 동반자 국군재정관리단입니다.

pf.kakao.com

 

 

직업군인 수당 지급시기
  • 정근수당 : 매년 1, 7월
  • 명절수당 : 설날 및 추석 포함된 월
  • 성과상여금 : 매년 3월 
  • 연말정산 환급금 : 매년 3월(환급금은 급여일에 일괄로 들어오며, 추가 납부의 경우 분납 신청한 경우 3월부터 3개월간 분할 납부 가능)

 

마무리

직업군인은 봉급으로만 살아가기에는 빠듯한 생활입니다. 각종 물가가 올라서 기본 봉급외에도 추가적인 수당만 기다리며 살아가는 많은 군인가족들이 계실겁니다. 수당 지급되는 시기를 잘 확인하셔서 가계경제에 많은 보탬이 되기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매월 지급되는 본봉의 경우 10일에 이루어지며 25일에 지급되는 식비와 초과근무 실적금액에 대해서 개인별 차이가발생해 리뷰하지 않은점 참고하시기 바라며 연가보상비의 경우 매년 마다 나라의 예산과 많은 관련이 있기때문에 가급적이면 자신이 원하는 휴가계획에 맞추어 돈보다는 쉼을 선택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