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정보의 모든것

안규백 국방부 장관, 폴란드 방산 협력·전작권 전환·군 조직 개편까지…국방 현안 직격 발언

by 국방매거진 2025. 8. 13.
반응형


🇰🇷 안규백 국방부 장관, 폴란드 방산 협력·전작권 전환·군 조직 개편까지…국방 현안 직격 발언

2025년 8월 13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국방컨벤션에서 주요 언론사 군사 담당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날 자리에서는 폴란드 방산 협력, 전작권 전환, 군 조직 개편, 장성 인사, 해병대 4군 체제 등

다양한 국방 현안에 대해 솔직하고 구체적인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 폴란드 방산 협력, 잠수함 계약 성사 가능성

안 장관은 최근 다녀온 폴란드 방문 결과를 전하며, K-방산에 대한 폴란드의 관심과 기대가 매우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3,000톤급 잠수함 3척을 연내 계약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원래 프랑스와 진행하던 사업을 우리 측이 설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잠수함 한 척 가격은 약 2조 원 규모로, 국내 계약과는 가격 체계가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폴란드 국방장관이 11월 한화오션 방문 계획을 밝힌 만큼,

폴란드-한국 방산 협력은 잠수함뿐 아니라 ‘현무 미사일’ 등 전략무기 분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전작권 전환, “임기 내 달성” 재확인

국정기획위원회가 ‘임기 내 전작권 전환’을 공식 과제로 밝힌 가운데, 안 장관은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조건 기반을 지금 와서 바꿀 수 없다”며, 1·2단계 조건은 이미 많이 갖춰졌고, 이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미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은 데 대해서는 “우리와 생각이 다르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특히 “이번 SCM(안보협의회의)에서 변화가 있어야 한다”며,

3단계 전환은 정무적 판단이 필요한 만큼 ‘세게 가야 한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 K-방산 차세대 먹거리와 R&D 확대

안 장관은 KF-21, FA-50, T-50 등 전투기 분야에서 최근 수출 계약이 주춤한 상황을 지적하며,

다음 세대 방산 먹거리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드론 전문가 양성을 비롯해 소형 드론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R&D 예산 확대 계획을 밝혔습니다.

다만 “기업 연구개발을 정부가 전부 해줄 수는 없고, 기업의 자율 투자와 정부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현실적 접근도 덧붙였습니다.



🏛 군 조직 개편과 ADD 규모 조정

군 조직 개편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

2차관제 신설은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전작권 관련 부서 강화와 함께 ADD(국방과학연구소)의 과도한 규모 축소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현재 ADD 인력은 약 4,000명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연구조직”이라며 효율성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 장성 인사와 기수 파괴

장성 인사 시점에 대해 “4성부터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기수보다는 능력을 중시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또한, 당장 한미연합연습과 정상회담 일정이 있어 시기를 조율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 해병대 4군 체제는 ‘상징적’ 조치

최근 논의된 해병대 4군 체제에 대해 “실제 4군 창설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4군에 준하는 상징적 조치와 수방사 권한 조정 등 부분적 개편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병대에서 대장이 나올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직접 언급하기 어렵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 KDDX 사업 지연 비판

KDDX(한국형 차기 구축함) 사업에 대해서는

“1조 원이 넘는 대규모 계약을 개념설계했다고 해서 무조건 1번함을 가져가고 수의계약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민간 위원회에서 논의 중이며, 방사청의 지연을 잘못된 행정으로 지적하고 “연내 결론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결론 – 직설적 발언 속 드러난 국방 개혁 방향

이번 간담회에서 안규백 장관은 방산 수출, 전작권 전환, 조직 개편, 장성 인사 등 민감한 현안을 피하지 않고 직접적인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특히 폴란드 잠수함 계약 가능성, 전작권 전환 가속화, ADD 규모 조정, 해병대 상징 강화 등은 향후 국방 정책의 핵심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방 개혁이 정치적 성과를 위한 ‘속도전’이 될지, 안보를 지키는 ‘완성형 개혁’이 될지는 앞으로의 실행 과정에서 판가름 날 것입니다.


#안규백장관 #방첩사해체 #전작권전환 #K방산 #폴란드방산수출 #잠수함계약 #현무미사일 #ADD규모축소 #군조직개편 #해병대4군체제 #장성인사 #KDDX #방위산업 #R&D확대 #드론교육 #자주국방 #한미동맹 #군사외교 #국방정책개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