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군인연금법2

군인연금 수령 꿀TIP (feat. 유족연금) 70% → 60% 우리는 군인연금의 목적이랑 성격에 대해서 봤습니다. 오늘은 군인연금법 전부개정법 관련해서 2019.12.10일에 법률이 개정되었습니다. 종전에는 군인연금법에서 군인연금법 전부개정법과 군인재해보상법으로 분리가 되었습니다. 아래의 세부적으로 바뀐 군인연금법 전부개정법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군생활을 통해서 연금수령 대상자가 될 수 있으며 연금수령자가 죽은 뒤 유가족들은 퇴역유족급여를 수령할 수 있는 대상자가 되기도 합니다. 먼저는 퇴직급여를 받는 자격 및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퇴직급여의 경우 다음중 선택할수 있습니다. -퇴역연금 : 20년이상 복무하고 퇴직한 때 -퇴역연금 일시금 : 퇴역연금에 갈음하여 일시금으로 지급받고자 할 때 -퇴역연금공제일시금 : 20년.. 2022. 9. 25.
군인연금 정리해봅니다. 대한민국 연금 끝판왕 군인연금 최근 블라인드를 통해 초급장교들이 장기복무를 지원하지 않는이유가 본인들의 10~20년뒤의 모습인 중대장과 대대장(여단장)의 모습을 보면 도저히 군생활을 해야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글을 봤습니다. 저도 20년가량 군생활을 하고 전역했지만 처음 군생활을 시작할때만하더라도 지금은 매월 수령하는 월급을 급여라고 하지만 당시에는 봉급이라고 표현하면서 군복무를 직업이 아닌 소명의식으로 군생활 하라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대다수의 선배들은 야근과 잦은 이사등 힘들법도 한 직업군인의 생활을 사명감을 갖고 이겨내라고 했던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의 MZ세대들에게 똑같은 방식을 요구한다면 기가막히고 코가 막힐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와의 정보교류가 활발해지고 병사들의 처우가 빠르게 개선되면.. 2022.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