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군인연금 수령 나이2

[국방] 군인연금 수령하는 군인의 공무원 임용 시 연금수령 방법 "군인연금은 군인연금법 제1조(목적)에 의해 군인이 상당한 기간을 성실히 복무하고 퇴직하거나 사망한 경우에 본인이나 그 유족에게 적절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본인 및 그 유족의 생활 안정과 복리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목적에 의해 19년 6개월 이상 군 복무를 마치고 퇴직하는 직업군인의 경우 군인연금 수령자가 됩니다. 최근에는 군 복무를 하면서 워라밸을 중시하고 자신의 자아 추구를 위해서 상당 기간의 복무를 마치고 바로 퇴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새로운 JOB을 찾아 나서는 제대군인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은 직장은 결국 안정적인 공직생활을 이어나가는 길이어서 예비군 지휘관 및 공무원 직업이 인기입니다. 공무원으로 재임용 되는경우 군인연금이 일시정지.. 2022. 12. 29.
군인연금 정리해봅니다. 대한민국 연금 끝판왕 군인연금 최근 블라인드를 통해 초급장교들이 장기복무를 지원하지 않는이유가 본인들의 10~20년뒤의 모습인 중대장과 대대장(여단장)의 모습을 보면 도저히 군생활을 해야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글을 봤습니다. 저도 20년가량 군생활을 하고 전역했지만 처음 군생활을 시작할때만하더라도 지금은 매월 수령하는 월급을 급여라고 하지만 당시에는 봉급이라고 표현하면서 군복무를 직업이 아닌 소명의식으로 군생활 하라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대다수의 선배들은 야근과 잦은 이사등 힘들법도 한 직업군인의 생활을 사명감을 갖고 이겨내라고 했던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의 MZ세대들에게 똑같은 방식을 요구한다면 기가막히고 코가 막힐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와의 정보교류가 활발해지고 병사들의 처우가 빠르게 개선되면.. 2022.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