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군대학 단기과정2

육군대학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자운대에서의 숨겨진 생활과 종합평가 등 성적의 진실 오늘 자운대 내 육군대학 단기과정 수료식이 진행 됬습니다. 친했던 후배로부터 입교할때부터 목표했던 소기의 성적을 달성했다 연락왔습니다.대략 8반으로 구성되어 한반에 50명이 안되는 인원들중 성적이 우수한 10명은 수료식에 단상에 올라서 메달을 수여하는데 본인은 그정도는 아니고 각 교반별 성적우수자 10명에게 부여하는 메달을 받았다고 합니다.아마도 성적 마지노선은 상위 30%안에 드는게 중요해서 노력했는데 배이상의 노력은 한것 같습니다.대한민국 장교라면 한 번쯤 꿈꾸는 교육기관, 바로 육군대학입니다. 대전 자운대 내 위치한 이곳은 장교들에게 군 경력의 전환점이 되는 상징적인 장소죠. 특히 정규과정과 단기과정은 장교의 진급, 보직, 경력 전반에 직결되는 중요한 교육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궁금해합니다. 하지.. 2025. 4. 11.
국군 계급장 변천과정 군인 계급장 변천과정 대한민국 국군의 군인 신분은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기까지 장교와 사병으로만 구분되어 있다가 현재와 같은 계급 구조의 시초는 갑오경장 때(1894년 칙령 제 10호) 분류되었습니다. 당시 장교의 계급은 현재의 장관급 장교에 해당하는 대장, 부장, 참장으로 분류되었으며 영관급 장교의 경우 점령, 부령, 참령으로 구분되었고 위관급 장교의 경우 정위, 부위, 참위로 구분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부사관 계급의 경우 현재 상사, 중사, 하사에 해당하는 정교, 부교, 참교로 구분되었습니다. 고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장교에 해당하는 무관들을 군관(또는 별장)이라 불렀으며 부사관은 장교라 불렀습니다. 북한의 경우 장교를 군관이라 부르고 부사관을 사관이라 합니다. 군인 계급장의 시기별 변천사 1946년.. 2022. 1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