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예전역3

2025 최신판|명예전역과 전직지원기간, 선후관계가 아니라 기준일과 기간의 문제입니다 2025 최신판|명예전역과 전직지원기간, 선후관계가 아니라 기준일과 기간의 문제입니다아침에 군관련 커뮤니티에서 흥미로운 질문 두개를 보았습니다.명예전역을 신청하면서 전직을 함께 내는지, 아니면 전직부터 쓰고 나중에 명예전역일을 적는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겠습니다. 이 제도의 핵심은 전역일을 먼저 확정하고, 그 전역일 이전 기간 안에서 전직지원기간을 배치해 쓰는 것입니다. 기준일은 전역일이고, 사용 가능한 범위는 전역일 이전입니다. 그 범위 안에서 개인에게 부여된 개월 수를 연속으로 쓰든 나눠 쓰든 절차대로 진행하면 됩니다.법적 근거는 군인사법과 그 시행령, 그리고 국방부 훈령에 있습니다. 군인사법은 전직지원교육 제도 자체를 두고 있고, 시행령은 전역 전 1년의 범위에서 운영한다고 못 박습니다. 제가 현.. 2025. 7. 31.
2025년 전반기 군 간부 ‘희망전역 2,869명(역대 최대)’ — 초급간부 86% 이탈과 휴직 3,884명의 의미 2025년 전반기 군 간부 ‘희망전역 2,869명(역대 최대)’ 초급간부 86% 이탈과 휴직 3,884명2025년 전반기, 희망전역 간부 2,869명이 기록됩니다. 같은 기간 휴직 간부 3,884명입니다. 전반기 기준 창군 이래 최대치라는 문장이 과장이 아닙니다. 이 숫자는 국방부 제출 자료를 국회가 공개한 뒤, 주요 매체들이 교차 확인해 제시한 값과 일치합니다. 특히 부사관과 위관장교가 약 86%를 차지했다는 점이 초급 지휘체계의 지속가능성에 경고등을 킨것으로 보여집니다. 2021년 전반기 1,351명에서 출발한 곡선은 2022년 1,694명, 2023년 2,212명, 2024년 2,723명, 2025년 2,869명으로 이어집니다.상승은 단절 없이 5년 연속입니다. 휴직은 같은 기간 1,846명→3,8.. 2025. 7. 30.
임기제 중령 진급, 신청하지 않아도 선발될 수 있을까? 임기제 중령 진급, 신청하지 않아도 선발될 수 있을까?군 인사제도 속 임기제 진급의 구조와 실제최근 군 간부들의 전역 및 진급 관련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임기제 중령 진급과 관련하여 정확한 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신청하지 않아도 임기제 중령으로 진급될 수 있는지”, “임기제 중령 진급의 장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고자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임기제 진급의 절차, 정규 진급과의 차이점, 퇴직수당 및 연금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설명드립니다.임기제 중령 진급은 자동이 아니다가장 먼저 정리해야 할 핵심은, 임기제 중령 진급은 본인이 반드시 신청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군 인사제도상, 임기제 진급은 당해연도 진급자 심의와 지휘관 추천을 포함한 신청자 .. 2025.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