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2

조희대 대법원장, 그는 누구인가? 프로필과 이재명 사건의 핵심 키 플레이어 2025년 5월 1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대법원 선고가 예정된 가운데, 조희대 대법원장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회부되며, 조 대법원장의 법적 성향과 경력이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다. 그렇다면 조희대 대법원장은 누구이며, 그가 어떤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인물인지 짚어보자.원칙주의 보수 법관, 조희대조희대 대법원장은 1957년 경북 경주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법학석사(LL.M)를 취득한 엘리트 법조인이다.1981년 사법시험에 합격(연수원 13기)한 그는 30년 넘게 법원에 몸담으며, 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대구지방법원장 등 핵심 요직을 두루 거쳤다.그는 2014년 박근혜 정부 시절 대법관으로 임명되었고.. 2025. 5. 1.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보은 인사 논란과 유심 해킹 대응 의문 2024년 1월, 윤석열 정부는 검찰 출신 이상중 씨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으로 임명했습니다. 사이버보안의 핵심 기관 수장을 검사도 아닌 5급 수사관 출신이 맡았다는 점에서 파격이라는 평가와 동시에 "보은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5급 수사관에서 차관급 기관장으로이상중 원장은 30년 가까이 검찰 수사관으로 근무하며 대검찰청 사이버수사실장, 서울중앙지검 인터넷범죄수사센터장 등 직책을 역임했습니다.이후 구미대학교 사이버보안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다고 알려졌습니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차관급 공공기관장은 고위직 관료, 교수, 또는 기업 경영자 출신이 맡는 것이 관례입니다. 5급 사무관 출신이 기관장에 임명된 사례는 극히 드뭅니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언론에서는.. 2025. 5. 1.
김형기 중령, "사람이 아닌 국가에 충성"…특전사 대대장의 소신 발언이 던진 파장 2025년 4월, 대한민국 정치와 군사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증언이 있었습니다.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 1특전대대장 김형기 중령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남긴 한마디는 많은 국민의 가슴에 깊은 울림을 남겼습니다."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습니다. 조직에 충성해왔고, 그 조직은 제게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는 임무를 부여했습니다."이 발언은 단순한 군인의 의무를 넘어, 국가의 근간을 지키려는 한 군인의 소신과 신념을 대변했습니다. 김 중령은 2003년 이등병으로 군에 입대해 부사관을 거쳐 장교로 임관했으며, 무려 23년간 군 생활을 이어온 인물입니다. 그는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특전사 대대장을 맡으며 현장 경험과 실력을 인정받은 케이스입니다.이번 윤석열 전 대.. 2025. 4. 29.
김문상 대령, 12·3 내란 사태 막은 비육사 출신 ‘참 군인’의 진면목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현대사에 길이 남을 내란 시도가 발생했습니다. 이른바 ‘12·3 내란 사태’로 불리는 이 사건에서, 계엄군의 핵심 병력인 특전사 헬기의 서울 진입을 세 차례나 거부하며 사태를 지연시킨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육군3사관학교(3사) 출신의 김문상 대령입니다. 그는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작전처장을 역임했으며, 당시 제52사단 210여단장으로 재직 중이었습니다. 2025년 1월부로 육군본부 직할부대로 전출되어 보직 해제 후 교육대기 중입니다.김문상 대령의 결정적 판단은 내란 시도 저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12월 3일, 비상계엄 하에서 서울 진입을 시도한 특전사 헬기 편대에 대해 김 대령은 "비행 목적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진입을 거부했습니다. 그는 상부에 재차 보고.. 2025.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