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군인연금 수령액4

[국방] 군인연금 수령하는 군인의 공무원 임용 시 연금수령 방법 "군인연금은 군인연금법 제1조(목적)에 의해 군인이 상당한 기간을 성실히 복무하고 퇴직하거나 사망한 경우에 본인이나 그 유족에게 적절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본인 및 그 유족의 생활 안정과 복리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목적에 의해 19년 6개월 이상 군 복무를 마치고 퇴직하는 직업군인의 경우 군인연금 수령자가 됩니다. 최근에는 군 복무를 하면서 워라밸을 중시하고 자신의 자아 추구를 위해서 상당 기간의 복무를 마치고 바로 퇴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새로운 JOB을 찾아 나서는 제대군인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은 직장은 결국 안정적인 공직생활을 이어나가는 길이어서 예비군 지휘관 및 공무원 직업이 인기입니다. 공무원으로 재임용 되는경우 군인연금이 일시정지.. 2022. 12. 29.
군인연금 일부정지 사례 (Q&A) 1. Q. 2022년 1월 1일 부 00은행에 재취업 하여 종사기간이 12개월이고, 월 급여액이 750만원의 근로소득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경우 현재 받고 있는 연금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월 연금액 350만원 수령) 총소득 근로소득 공제액 근로소득 공제후 월소득① '21년도 평균임금 월액② 초과소득액 (①-②) 지급정지 월액 연소득 월소득 90,000000 7,500,000 14,250,000 6,312,500 4,231,358 2,081,142 540,571 [참고] 근로소득 공제액 구하는 법 해당과세기간 총급여액 근로소득 공제액 500만원 이하 총급여액의 70% 500만원 초과 ~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500만원 초과금액의 40% 1,500만원 초과 ~ 4,500만원 이하 750만원.. 2022. 10. 3.
군인연금 지급 제한 받는경우(feat. 형벌 및 고의에 의한 지급제한) 직업군인들은 주기적으로 살아온 정든 곳을 떠나서 매번 새로운 곳으로 이동해서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힘든 군생활속에서도 이생활을 계속해야하는 고민이 들때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군생활을 이어가는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 군인연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10년 이상 군생활을 한 간부들의 경우 가장 많은 고민의 시기가 찾아옵니다. 계급적으로도 장교의 경우는 대위 부사관은 중사 고참으로 실무자급에서 관리자 급으로 넘어가는 계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업무와 책임감이 모두 나에게만 몰려온다는 생각이 들어 힘이들기도 하면서 이 정도의 노력이라면 사회 나가서도 충분히 잘할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가득 찰 시기입니다. 여기서 버티게된다면 20년 .. 2022. 10. 1.
군인연금 정리해봅니다. 대한민국 연금 끝판왕 군인연금 최근 블라인드를 통해 초급장교들이 장기복무를 지원하지 않는이유가 본인들의 10~20년뒤의 모습인 중대장과 대대장(여단장)의 모습을 보면 도저히 군생활을 해야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글을 봤습니다. 저도 20년가량 군생활을 하고 전역했지만 처음 군생활을 시작할때만하더라도 지금은 매월 수령하는 월급을 급여라고 하지만 당시에는 봉급이라고 표현하면서 군복무를 직업이 아닌 소명의식으로 군생활 하라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대다수의 선배들은 야근과 잦은 이사등 힘들법도 한 직업군인의 생활을 사명감을 갖고 이겨내라고 했던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의 MZ세대들에게 똑같은 방식을 요구한다면 기가막히고 코가 막힐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와의 정보교류가 활발해지고 병사들의 처우가 빠르게 개선되면.. 2022.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