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0 채용트렌드 분석 ⑥ 국비지원 교육과정 국비지원 교육과정이란? 고용노동부에서 국민들의 취업역량을 향상시키고,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국비지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1.(수요자 지원형)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업은 교육훈련수요자에게 직접 보조금을 지급하며, 그 액수는 300~500만원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은 자는 직업훈련포털(www.hrd.go.kr)에서 필요한 교육훈련과정을 검색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공급자 지원형) 청년취업진로 및 일경험 지원,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등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가 직접 운영주체가 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폴리텍 사업도 존재합니다. 청년구직자들이 주목할만한 사업으로는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과정과 폴리텍대학 훈련과정이 있습니다. 두 사.. 2022. 10. 18. 2022년 채용트렌드 ⑤ 국정과제 작년한해 부동산시장은 정말 뜨거웠습니다. 그이전 정부에서부터 집값이 계속떨어지니 집을 사라고 정부에서 시그널을 줘서 그 시그널을 그대로 따라했더니 집값이 수직상승해서 앉은 자리에서 억대의 돈을 벌었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줬던 시그널의 경우 대출금리를 최대한 낮은 이율로줘서 집을 사더라도 부담이 없었고 집을 팔때도 세금을 적게 부과해서 집을 사고파는데 가장 좋았던 시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정부의 시그널은 국정과제 발표등을 통해서 우리는 알수있습니다. 특히 채용 트렌드의 경우도 국정과제에 발표가 되었으니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어느 부분에서 채용을 할때 중요하게 보는지 확인할 수이가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1대 정부 국정과제를 통한 채용트렌드 분석 지난 5월 출범한 21대 정부.. 2022. 10. 17. 2022년 채용트렌드 ④ 자격증 제도 1. 채용시장에서 자격증의 위상 지난 4월 잡코리아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취업준비생의 55.9%가 취업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해 취업시장에서 자격증에 대한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16~'20) 국가기술자격증에 응시한 인원은 꾸준히 증가하여 '19년부터 200만명 이상 수준(필기시험 기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민간등록자격증도 '12년부터 응시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7년에는 86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새로운 산업분야가 등장하면서 자격증의 개수도 증가하고 있는데, '21년 기준 우리나라 자격증은 47,184개이다. 이 중 국가공인자격증은 714개로 국가기술자격증 546개, 국가전문자격증 1.. 2022. 10. 13. 2022년 채용트랜드 분석 ③ 안전분야 진로 소개 '2016년~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 분야의 취업자는 연평균 2.4%씩 증가할것으로 전망된다. (증가요인으로 사업장 사고에 대한 국민관심 증가, 기업경영전략 변화,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등) 특히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으로 안전전문가에 대한 기업의 인력수요가 많아지고, 안전분야에 대한 구직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현장에서 사업주가 안전보건의무를 다하지 않아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법인이 아닌 사업주에게 직접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규정하여 기존제도와 차이가 있다. 채용 플랫폼 인크루트는 안전보건공단과 협업하여 소방/안전분야에 대한 구인/구직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jobfair.incruit.com/kosha)를 운영 중에 있으며,.. 2022. 10. 13. 2022년 채용트렌드 분석 ② 채용추천제도 앞선 포스팅에서 상시ㆍ수시 채용으로 인해 전통적 채용방식인 공채모집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고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채용추천제도(employee referral)라는 HOT한 트렌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마도 채용추천제도에 대해서 정확한 정의는 들어보지 못했지만 안좋은 인식을 갖는 경우의 사람들은 "그거 낙하산 아니야?! ", "공공기관에서는 이미 지명자를 지정해놓고 할때 그 제도 쓰던데?!" 라는 이야기를 들을 것입니다. 사실은 검증된 인원을 통해서 유능한 인재를 1차적으로 필터링 된상태에서 뽑기위해 많이 쓰는 방식인데 일부에서 와전되어서 잘못 전해들은 이야기로 오해를 하는 부분이 생긴것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자세히 어떠한 제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채용 추천 제도란 ? .. 2022. 10. 12. 2022년 채용트랜드 분석 ① 상시ㆍ수시채용의 확대 인생 2막의 시작 인생 2막을 시작하면서 누구든 인생직업을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저역시 마찬가지입니다. 30대 후반의 가장으로 가슴이 뛰는 일을하기위해서 현재 준비중입니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것은 즐기면서 할 수 있고, 몰입할 수 있고, 수입이 되는일을 찾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채용시장 분위기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그리고 트렌드는 어떤지를 알아야 합니다. 채용 핵심 키워드를 여러분과 공유해보겠습니다. 1. 상시채용 상시채용이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개채용이 한번에 많은 인원을 선별하여 필요한 부서에 배치하는 형식이라면 상시채용은 부서 별로 필요한 인원을 수시로 채용하는 형태입니다. * 21년 사람인에서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상시채용을 선호하는 이유는 이직 / 퇴직에 즉각적 대처로 .. 2022. 10. 11. 퇴역연금 및 퇴직수당 산정방법 최근 자주가는 사이트에서 군인연금에 관한 질문이 자주올라 오고 있습니다. 특히나 주된 질문중 하나가 육아휴직을 하는것이 군생활에 포함이 되는지와 호봉승계가 되는 그리고 연금수혜가 되는지 등의 질문입니다. 또다른 내용으로는 20년 이상 군생활을 할시 대략적인 연금 수령액이 어떻게 되는가 입니다. 여기에 대해서 답을 해드리자면 현역이신 분들의 경우 국군복지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자신의 연금수령액을 대략적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본인의 퇴직금 계산 하는 항목을 선택한뒤에 모의 퇴직금 계산을 실시하면 됩니다. 수령일자를 현재날자로 했을시 20년이 안되는 사람의 경우 산출되어 나온금액이 본인의 퇴직금이 되는것이고 퇴직날짜를 20년(정확히는 19년 6개월로 설정) 군복무를 한기간으로 설정했을 경우 연금수령액과 .. 2022. 10. 10. 건강보험 임의계속 가입자 제도 및 행방불명자 등에 대한 퇴직급여(Feat.연금액 조정) 군인연금 수령자의 경우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자 제도를 통해서 건강보험 혜택을 수령할 수 있다. 군생활이 계속되는 동안에는 직장가입자로서 건강보험을 통해서 의료혜택을 누릴 수 있었지만 전역이 후에는 통상 본인 신청에 의해 지역가입자로 전환해서 건강보험을 유지하는 것으로만 알고 있다. 필자역시 전역 이후 당현히 직장에 소속되지 않을 시에는 그것이 맞다고 알고 있었지만 추가적인 확인을 통해서 직장가입자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했다. 아래 세부적인 내용을 통해서 여러분들의 혜택을 확인하기 바라며 추가적으로 가장 궁금한 내용중의 하나인 연금액 조정도 포스팅하니 관심갖어 주길 바랍니다. 필자는 해당 내용을 확인하기 전까지 연금액은 변동없이 고정으로 받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친한 선배를 통해서 연금.. 2022. 10. 10.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