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2 육군 장교 장기복무 선발을 위한 준비방법을 알아보자 육군 장교 장기복무 선발 준비방법 최근 블라인드라고 하는 익명의 앱에 올라온 내용중 전방 부대의 어떤 사단급 부대의 장기복무 지원자가 단 한명도 없다 라는 내용을 본적이있다. 글쓴이가 장기복무를 지원자가 없는 이유중에 여러가지가 있지만 기억에 남는것은 내가 군생활 20년 이상 그리고 30년 가량 했을때 모습을 상상해보면 멀리가지 않고 바로 자신이 모시는 대대장 그리고 연대장(여단장)의 모습을 보면 가장 현실감있게 다가올텐데 당장의 그 지휘관들의 모습을 보면 전혀 군생활을 장기간 이어갈 희망이 안 보인다는데 있다는 것이다. 불과 10년 전만하더라도 영관급 지휘관의 경우 지휘봉을 하사받고 부대지휘를 할때 자신감 넘치는 모습을 많이 볼수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 신경써야할 문제가 한두가지가 아니고.. 2022. 11. 15. 육군 장교 장기 및 복무연장자 복무관련 정보 육군 장교의 장기 및 복무연장자의 복무관련 정보를 알아보자 육군의 우수 인재 확보는 육군의 노력만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최근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할것없이 전군에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추세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인원들도 전역을 앞다퉈 지원하는 추세여서 장교의 경우 지원율이 2:1을 넘지 못하는 점에서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장교 지원이 언제부터 인기가 없어진것일가? 장교의 장기복무에서부터 모집과 관련된 인기는 경제상황과 사회분위기와 상당히 맞물려있다. 현재의 추세는 장교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이 고생과 힘든것은 말로다할 수 없는데 병사들과 급여차이자체가 얼마나지 않으니 굳이 장교로 군복무를 해야하냐는 원론적인 생각에서 시작해 빨리 군생활을 시작해서 마친다음 사회로 나가는것이 훨씬 장점이 많.. 2022. 11. 14. 격오지 및 접적부대 근무시 혜택 격오지 및 접적부대 근무시 혜택 필자는 군생활을 하면서 격오지 및 접적부대에 근무해볼 기회가 종종 있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20대 때에는 적당한 도서 지역에 들어가 3년간 수양활동 하는것이라 생각해보고 인생에 다시 못올 기회라고 여긴적도 있었지만 막상 아무것도 없는 섬이나 산에서 생활하는것은 내인생에 가장 황금기를 포기하는것만 같아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포기했다. 사실 동기중에서는 섬에 들어가서 3년간 근무했던 동기가 있는데 그 동기의 경우 방송통신대학에 입학을 신청해서 섬에서 근무하는 동안 대학교 학업을 마치는 등 2마리 토끼를 다 잡은 경우라고 할 수있다. 분기정도에 나오는 휴가를 꼭 자신의 학교 시험이 있는날로 조정을해서 학업도 마치고 어느정도 사회에 나올 자금도 모아서 나올수 있었다. 지금은 전역.. 2022. 11. 14. 군 생활중 전문성을 향상하려면 군 복무간 전문성을 향상하는 방법 군 복무를 하다가 끊임없이 드는 생각은 내 전문성을 어떻게 하면 좀더 상승시킬 수 있을가에 대한 고민이다. 기본적으로 참모임무를 수행하거나 지휘관 임무를 수행하다보면 많은 임무를 부여받게 되는데 이때 이 반복적인 업무를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군대에서 주로 수행하는 업무라는게 새로운 업무라기 보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것이 대부분인 업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업무의 특성이 새로운것이 아니지만 주기적으로 병력이 끊임없이 투입되어야 하는업무인데 임무수행하는 사람이 전문성만 좀더 가진다면 더 나은 결과물을 가지고 올것이라고 생각이든다. 특히 전방 GP.GOP의 경우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환경이 정말 열악하다. 같은 행정구역내에 있어도 최전방에서 어떠한 .. 2022. 11. 13.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78 다음 반응형